TISTORYㅣ블로그

TISTORY 꾸미기: 스킨 설정

앤. GM 2018. 3. 2. 00:44
반응형

TISTORY 꾸미기: 스킨 설정

 

 

드디어 블로그를 개설했지만!! 내가 알던 블로그의 모습과는 많이 다르다.

 

 

[TISTORY 처음 개설 화면, 출처: http://kongpapa0517.tistory.com/2]

 

 

TISTORY는 Customizing(손님이 원하는 대로 만드는 것)해야 하는 시스템이므로,

블로거가 원하는 대로 설정이 가능하다.

TISTORY 꾸미기의 첫 시작, "스킨"편 이다. 


오늘도 어김없이 구글링으로 공부해보자.

 

 

+ 왜 이름이 스킨일까? 개인적인 호기심에 찾아본다. (18.3.2. 검색)
   Skin, 명사의 여러 뜻 중 아래를 찾았다. 
          (선체·기체·건물 등의) 외판(外板), 외장(外裝), 동아출판, 네이버사전
          (배의 늑재(肋材)를 덮는) 외판(外板), 외각(外殼). YBM, 네이버사전
   사람의 경우 피부라는 뜻과 함께 생각해보면, '어떤것의 외부에 드러나는 것'을 일컫는 것 같다.
+ 블로그에서 스킨이란, '컴퓨터의 바탕화면과 같이 블로그 메인 페이지에 보여지는 그림, 글의 구조와 배치 등을 말한다.'

   라고 필자가 지어봤다.

   집으로 치자면 현관에 들어서며 그 집의 인상과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겠다.

 


 

 

2. TISTORY 스킨 설정: 변경과 적용


    TISTORY의 스킨을 설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을 것 같다.
    아니 정확히는 3가지.

 

    1) 스킨 설정을 위한 선택지
       A. TISTORY에서 무료로 지원해주는 스킨을 이용한다. 

       B. 무료로 배포되는 스킨을 이용한다.
       C. 직접 만들기

 

 

    세상사 일장일단이다.

    어느 것 하나 무조건적으로 좋다고 말할순 없지만, 각자의 상황과 능력에 따라 편한것을 택하면 순조로울것 같다.

 

 

    선택을 위해 먼저, 필자가 생각하는 장/단점을 꼽아보면,
    A. TISTORY 무료 지원 스킨: (장) 매우 편리하다. 이용자는 '클릭'이 할일의 전부
                                     vs (단) 기본 제공 스킨이 맘에 안들수도있다.  
   

    B. 무료로 배포되는 스킨: (장) 기본으로 제공하는 것 외에 다양한 스타일을 적용해볼 수 있다.

                                       게다가 TISTORY Customizing 기능도 적용된 것이라면 TISTORY의 장점이 그대로 유지됨.
                               vs (단) 검색해서 일일이 찾아야하는 번거로움 + 애써 찾았는데 맘에 들지 않으면 더 낙담 : ( 


    C. 직접 제작: (장) 내맘대로 어떤 스킨이던 디자인할 수 있을 듯!

                  vs (단) 컴퓨터 언어가 뭐죠?라면 많은 산을 넘어야 할 것임.

 

 

    + B. 무료 배포용은 티스토리 홈페이지에 소개된 것을 이용하거나 구글링(구글에 검색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것)을 하되, 연관 검색어를 이용하면 도움이 많이 된다.

    + 필자는 특정 프로그램 컴퓨터 언어를 경험한 적이 있지만, TISTORY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전혀 모른다.

       따라서 스킨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Customizing기능을 개발한 스킨에 추가해둔 것인지,

       아니면 TISTORY에 해당 스킨을 적용하면 자동으로 Customizing 기능이 추가되는 것인지는 모른다.(또 다른 가능성?)
    + C. 스킨을 직접 개발하는 것은 모험정신이 강하며, 시간 투자 가능하며, 진취적인 분들에게 추천!! bb  

 

 

2) 스킨 적용 방법

    필자는 컴알못에 속하며, 편리함을 추구하므로 기본 제공하는 스킨을 골랐다.


   A. TISTORY 무료 지원 스킨: TISTORY 로그인 - [블로그 관리]클릭 - 좌측 메뉴 중 꾸미기 밑에 [스킨 변경]클릭


[TISTORY 기본 제공 스킨: 39가지 목록]


     기본으로 39가지의 스킨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 스킨의 특징이 해쉬테그 되어있다.

    특징을 살펴보면, #2단, #3단은 스킨의 글 배치 구조를 말하며,

                         #반응형 자극에 따라 반응하는 것이다. 화면 너비 조절하는 정도에 따라 그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보여는 페이지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다. 라고 필자는 알고 있다. 즉, 화면의 너비가 넓으면 PC화면으로, 화면의 너비가 적으면 모바일 화면으로 보여진다.

#ㅇㅇ지원: 해당 스킨을 사용하면 ㅇㅇ를 지원해주는 것 같다.

     원하는 스킨을 클릭하면 팝업창으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으며, [미리보기]를 클릭하면 예시 화면을 '새 창'에서 볼 수 있다.


[TISTORY 기본 제공 스킨: 클릭 시 팝업창]

+ 이는 필자의 경험담이다. 특정 사이트를 이용하는 중에, PC를 사용하는데 화면을 분할해서 사용하기 위해 창의 너비를 반으로 줄였더니, 갑자기 모바일 화면으로 보였다. 그러나 다시 화면의 너비를 넓히니 PC화면으로 돌아왔다. ㅇ0ㅇ?  = 반응형 ㅇㅇ

 

      (앞 단계에 이어서)  - 마음에 드는 스킨을 선택하여 - [적용]클릭 하면 블로그의 스킨 선택과 적용까지 완료!


      그런데, 스킨 스타일에 따라 블로그 제목이 노출되는 것도, 아닌 것도 있나보다. 위 사진으로 예시를 들자면,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은 변경이 불가능해 보인다(아니면 필자가 할 줄 모른다 ㅜㅜ). 

(BOOK REVIEW나 PHOTO등 아주 다양하다.. 블로그의 성격을 서평이나 여행 등으로 한다면 유용해 보인다.)

 

 

   B. 무료로 배포되는 스킨  

 

      스킨 구성은 참 마음에 드는데, 마음에 드는 것마다 블로그 제목이 노출되지 않아 속상해 하던 중, 구글링 중에 '무료 배포 스킨'을 알게되었다!!

 

      구글에서 '티스토리 무료 스킨'으로 검색하면 개인이 직접 개발한 스킨을 무료로 배포하는(착하고 고마우신) 것을 찾을 수 있다. 대개는 알집.zip 파일로 되어있으니 다운 받고 - 압축을 풀어둔다. 

[TISTORY 무료 스킨: 알집 파일 형태]


      또는 TISTORY 홈페이지에서 무료 스킨을 소개하는 페이지도 있다. 

      TISTORY 홈페이지 - [스킨]클릭 - 원하는 스타일 클릭 - 알집 파일 다운로드 - 압축 풀기

[TISTORY 무료 스킨: 홈페이지에서 소개]


      알집 파일 다운 - 압축을 푼 뒤- 뒤 -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스킨 적용을 '직접'해야 한다. 

      [블로그 관리]클릭 - 좌측 메뉴 중 꾸미기 밑에 [스킨 변경]클릭 - 화면 우측 상단의 [스킨 등록]클릭 

      - 화면 우측 상단의 [추가] 클릭 - 압축 풀어둔 파일에 있는 파일들을 전부 다 클릭 

      - ('파일 목록'과 압축 풀어둔 파일의 목록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면 더욱 좋겠지요) 

      - 아래 화면에 안내 된 내용 "저장 전 index.xml, skin.html, style.css 등 파일이 모두 업로드 됐는지 확인해주세요." 에 따라 다시 한 번 확인!


[TISTORY 무료 스킨 적용: 적용할 스킨 파일 업로드하기]


      - 저장 클릭하면 끝!

 

      적용해보니, 이제 블로그 제목이 노출된다. :D


[무료 스킨 적용 화면]




순서를 글로 작성하니 참 복잡해 보이지만,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 클릭-클릭-업로드-저장 하면 되는 단계로 매우 간단하다. 


블로그의 배경이 되는 도화지를 골랐으니 이제 스케치를 하고 물감을 선택해 디자인 해야 한다.  


반응형